2 0 0 0 0 0 6일전 0

중세 일본 설화모음집 4

일한대역 우지슈이모노가타리 ④, 다케토리모노가타리, 오토기조시 ①

9세기 후반10세기 초기 성립이라고 하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이야기 『다케토리모노가타리(竹取物語)』가 2013년 스튜디오 지브리에서 이야기의 주인공을 전면에 내세워 ‘かぐや姫の物語(가구야 공주 이야기)’라는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 재탄생했다. 이어서 2014년 한국에서도 개봉했는데, 그 옛날이야기에 상상력을 보태 뜻밖의 전개를 선보인 만큼 흥미롭기도 적잖이 당황하기도 했던 기억이 있다. 또 어디가 그렇다고 콕 집어 이야기하기는 어렵지만 대략 13세기 성립한 설화집인 『우지슈이모노가타리(宇治拾遺物語)』나 18세기 초엽 성립한 이야기집인 『오토기조시(御伽草子)』 역시 드라마와 애니메이션 등에 녹아 들어가, 일본의 전통문화를 읽어내는 재미를 선사한다. 그렇게 각색된 옛날이야기를 접하다 보면 ‘그래서 원..
9세기 후반10세기 초기 성립이라고 하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이야기 『다케토리모노가타리(竹取物語)』가 2013년 스튜디오 지브리에서 이야기의 주인공을 전면에 내세워 ‘かぐや姫の物語(가구야 공주 이야기)’라는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 재탄생했다.
이어서 2014년 한국에서도 개봉했는데, 그 옛날이야기에 상상력을 보태 뜻밖의 전개를 선보인 만큼 흥미롭기도 적잖이 당황하기도 했던 기억이 있다.
또 어디가 그렇다고 콕 집어 이야기하기는 어렵지만 대략 13세기 성립한 설화집인 『우지슈이모노가타리(宇治拾遺物語)』나 18세기 초엽 성립한 이야기집인 『오토기조시(御伽草子)』 역시 드라마와 애니메이션 등에 녹아 들어가, 일본의 전통문화를 읽어내는 재미를 선사한다.
그렇게 각색된 옛날이야기를 접하다 보면 ‘그래서 원서는 어땠는데?’ 하는 생각이 들게 마련이다. 그런 원서의 맛을 최대한 살리고자 세 가지 책의 일본어 옛글 원문을 들어놓고, 단어의 뜻을 하나하나 음미하며 한국어로 대역한 것이 본서다.
역자

민병찬
인하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

■저서
『중세 일본 설화모음집 3 - 일한대역 [우지슈이모노가타리宇治拾遺物語]③』, 시간의물레, 2024
『중세 일본 설화모음집 2 - 일한대역 [우지슈이모노가타리宇治拾遺物語]②』, 시간의물레, 2023
『중세 일본 설화모음집 1 - 일한대역 [우지슈이모노가타리宇治拾遺物語]①』, 시간의물레, 2022
『역주 첩해신어(원간본·개수본)의 일본어(中)』, 시간의물레, 2021
『역주 첩해신어(원간본·개수본)의 일본어(上)』, 시간의물레, 2020
『역주 일본판 삼강행실도 1(효자)』, 시간의물레, 2017
『역주 일본판 삼강행실도 2(충신)』, 시간의물레, 2018
『역주 일본판 삼강행실도 3(열녀)』, 시간의물레, 2019
『고지엔 제6판 일한사전』(제1-2권), 어문학사, 2012
『일본인의 국어인식과 神代文字』, 제이앤씨, 2012
『일본어 옛글 연구』, 불이문화, 2005
『日本韻學과 韓語』, 불이문화, 2004
『일본어고전문법개설』, 불이문화, 2003

■논문
▶ 『捷解新語』의 <あり>에 관한 일고찰, 『비교일본학』 61, 2024
▶ 외래어 번역양상에 관한 통시적 일고찰, 『비교일본학』 54, 2022
▶ 『全一道人』의 일본어에 관한 일고찰 -<欲遣繼妻>에 대한 번역어를 중심으로-, 『비교일본학』 48, 2020
▶ 『小公子』와 『쇼영웅(小英雄)』에 관한 일고찰 -언어연구 자료로서의 활용 가치를 중심으로-, 일본학보, 2018
▶ 『捷解新語』의 <‘못’ 부정>과 그 改修에 관한 일고찰, 비교일본학 40, 2017
▶ 가능표현의 일한번역에 관한 통시적 일고찰, 일본학보, 2016
▶ 『보감(寶鑑)』과 20세기 초 일한번역의 양상, 비교일본학 35, 2015
▶ <べし>의 대역어 <可하다>에 대하여 -『조선총독부관보』를 중심으로-, 비교일본학 32, 2014
▶ <べし>의 한국어 번역에 관한 일고찰 -<べから->에 대한 대역어를 중심으로-, 일본학보, 2014
▶ 『朝鮮總督府官報』의 언어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努む>에 대한 대역어를 중심으로-, 일본학보, 2014
▶ 『日文譯法』의 일한번역 양상에 대하여, 일본학보, 2013
▶ 조선총독부관보의 ‘조선역문’에 대하여, 일본학보, 2012
▶ ヘボン・ブラウン譯『馬可傳』における「べし」について, 일본학보, 2012
▶ 伴信友와 神代文字: 平田篤胤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일본학보, 2012
▶ 落合直澄와 韓語 -『日本古代文字考』를 중심으로-, 일본학보, 2011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